티스토리 뷰

연금저축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이에 따른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또한 중도해지에 따른 대안법을 알아보고 불이익을 방지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연금저축

 

목차
  • 연금저축의 종류
  • 연금저축 장점
  • 연금저축 단점

 

연금저축의 종류

어떤 기관에서 가입하느냐에 따라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보험으로 나뉘게 됩니다.

 

은행상품의 경우 연금저축신탁, 증권사 상품은 연금저축펀드, 보험사(생명, 손해보험사) 경우 연금저축보험 이라고 합니다.각각의 종류에는 장단점이 있고 나에게 맞는거에 따라 상품을 선택하면 됩니다.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보험
납입방식 자유납입 자유납입 정기납입
적용금리 실적배당 실적배당 공시이율
연금수령기간 확정기간 확정기간 종신, 확정기간(생명)
확정기간(손해)
원금보장 보장 미보장 보장
예금자보호 적용 미적용 적용
상품유형  채권형(채권60% 이상)
안정형(주식10% 미만)
채권형(채권60%이상)
혼합형(채권+주식)
안정형(주식10% 미만)
금리연동형 

 

*연금저축신탁: 투자실적으로 상품의 금리를 결정, 원금보장과 예금자보호가 적용되어 안정성이 높음

*연금저축펀드: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여 수익률에 따라 연금액이 결정됩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편드를 원한다면 채권형 펀드를 선택하면 좋음

*연금저축보험: 공시 이율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어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 종신으로 수령기간을 선택시 장기적인 노후 대비가능하지만 장기간이라는 시간이 필요하여 수익률이 낮다는 단점이 있음 

 

 

연금저축 장점

①세액공제

종합소득금액
(연 근로소득)
4천만원이하
(5천 5백만원 이하)
4천만원초과 1억원이하
(5천5백만원 초과 1억2천 이하)
1억원 초과
(1억 2천만원 초과)
세액공제한도 400만원 400만원 300만원
세액공제비율 16.5% 13.2% 13.2%
최대공제금액 660,000원 528,000원 396,000원 

 

*퇴직연금도 납입하고 있다면 세액공제한도는 기존 400만원에서 700만원까지 증가

*연봉 1억2천만원 초과인 고소득자도 연금저축300만원 + 퇴직연금 400만원 한도 적용가능

 

②연금수령 전까지 세금 안내고 절세가능

보통 이자소득이 발생하면 세금을 내는 일반 금융상품과 다르게 연금저축은 연금수령을 할때까지 세금을 내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입후 5년이상 납입하고, 만55세부터 10년이상 연금으로 수령하면 낮은 세율이 적용되어 절세가 가능합니다. 

 

연금저축에 적용되는 세율은 일반적인 세율(15.4%)보다 훨씬 낮은 연금소득세율(3.3%~ 5.5%)을 적용하기 때문입니다. 연금 소득세율은 나이가 많을수록 낮아지기 때문에 연금수령이 늦을수록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 단점

중도해지시 불이익이 있습니다.  세제혜택을 제공하는 만큼 중도에 해지 시 그동안 공제받았던 금액과 이자수익의 기타 소득세를 부과하여 다 토해내야 합니다. 또한 2013년 이전 가입자라면 해지가산세(2.2%) 까지 내야 합니다.

 

*중도해지에 따른 불이익을 방지하는 법

 

①연금저축계좌 활용하기

해지하는 것보다 기존의 낮은 수익률의 연금저축상품을 다른 상품으로 이동하여 분산투자하는 게 좋습니다. 이동하는 것은 계약이 유지되는 것으로 보기에 특별한 불이익은 없습니다. 

 

②중도인출과 납입중지

당장 목돈이 필요한 경우에는 인출을 할 수밖에 없는데 이때 중도인출을 할 수도 있습니다. 중도인출은 세제혜택을 받지 않는 납입금액 안에서 가능하며 연 400만 원 한도이상 납입했을 때는 세액공제 혜택이 없기 때문에 불이익이 없어 중도인출 가능합니다. 

 

또한 연금저축펀드와 연금저축신탁의 경우 자유납입이기 때문에 사정이 어려울 때는 잠시 납입을 중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금저축보험의 경우는 정기적 납입이라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금저축보험은 납입유예를 하는 방식도 있으므로 알아보고 선택하면 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을 글